반응형
1️⃣ 작용기전 (Mechanism of Action)
- 반코마이신은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항생제입니다.
- D-Ala-D-Ala 말단에 결합하여 peptidoglycan 형성을 차단 → 세균 사멸
- 그람양성균 전용 항생제로, 그람음성균에 효과 없음
- 시간-의존적(time-dependent) 살균제
→ 혈중 농도가 높다고 효과가 세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농도 이상을 오랫동안 유지해야 효과가 있음
2️⃣ "시간 의존적"이라는 말은 '천천히 주입하라'는 뜻일까?
절대 아니다.
개념설명반코마이신과의 관계
시간 의존성 | 혈중 농도가 MIC 이상으로 오랜 시간 유지될수록 효과 좋음 | ✅ 치료 효과 관련 |
천천히 주입 | 빠르게 주입하면 Red Man Syndrome 유발 | ✅ 부작용 예방 |
- 정리: "천천히 주입해야 효과가 좋은 게 아니라", 부작용(Red man syndrome) 방지를 위한 것
3️⃣ 커버 가능한 균 (Spectrum)
작용 O작용 X
MRSA, MRSE | 대부분의 그람음성균 |
Enterococcus faecalis | VRE, ESBL |
Streptococcus pneumoniae | Pseudomonas, Mycoplasma |
C. difficile (경구 시) | 혐기성 Bacteroides |
4️⃣ 투여 경로: IV vs PO
✅ 정맥주사 (IV)
- 전신 감염(MRSA 폐렴, 균혈증, 심내막염 등)에 사용
- 주입은 1g당 최소 60분 이상 → Red Man Syndrome 예방
- Loading: 25–30 mg/kg
- Maintenance: 15–20 mg/kg q8–12h (신기능에 따라 조절)
✅ 경구 (PO)
- 단 하나의 적응증: Clostridioides difficile 감염
- 경구 반코마이신은 전신흡수 거의 없음 → 장 내 작용 전용
- 125mg q6h × 10–14일 (중증 시 500mg 가능)
⚠️ 설사 환자에게 IV로 반코 주면? → 장에는 도달하지 않아 효과 없음
5️⃣ Trough level: “여물통처럼 가장 낮은 농도”
✅ 어원
- Trough는 원래 가축의 여물통을 뜻함
- 여기서 파생되어 혈중 농도 곡선 중 가장 낮은 지점을 의미함
markdown
복사편집
혈중 농도 ↑ │ /‾‾‾‾‾\ │ / \ │ / \ │_____/ \____ ← trough (가장 낮은 지점) │ ├─────────────────→ 시간
✅ 왜 중요할까?
- 농도 낮으면 치료 실패, 높으면 신독성
- 가장 낮은 시점(trough)을 기준으로 용량 조절
✅ 측정 요약
- 측정 시점: 다음 주사 직전 30분 전
- Steady-state 도달 후 (보통 3~5회 투여 후)
감염 종류목표 Trough 농도
경증 감염 (UTI 등) | 10–15 mcg/mL |
중증 감염 (심내막염 등) | 15–20 mcg/mL |
최근에는 AUC/MIC ≥ 400 기준도 중요하지만, 실무에서는 Trough 중심 모니터링이 여전히 흔함
6️⃣ Red Man Syndrome: 빠르게 주입하면 나타나는 대표 부작용
- 비면역성 히스타민 반응 (알러지 아님)
- 증상: 얼굴/상반신 홍조, 저혈압, 두근거림, 가려움
- 빠른 주입(예: 1g < 30분) 시 발생
- 예방:
- 1g당 최소 60분 이상 천천히 주입
- 과거 경험자 → 항히스타민제 (Diphenhydramine) 전처치
7️⃣ 신독성 주의
- 고 trough 유지 시 위험 증가
- 병용약 주의: Aminoglycoside, NSAIDs, Loop diuretics
- 고령자, 신부전, 패혈증 환자는 TDM 필수
📌 정리 요약표
항목내용
작용기전 | 세포벽 합성 억제 |
작용 스펙트럼 | 그람양성 전용 (MRSA 포함) |
시간 의존성 | 일정 농도 이상을 오래 유지해야 효과 |
투여 경로 | IV (전신 감염), PO (C. difficile 전용) |
부작용 | Red Man Syndrome, 신독성 |
TDM | Trough 기준, 감염 종류에 따라 농도 설정 |
주입 속도 | 1g당 ≥ 60분 필수 (Red Man 예방 목적) |
경구 효과 | 장 내에만 작용, 전신 감염에 효과 없음 |
📚 참고 문헌
- IDSA MRSA Guidelines (2021), C. difficile Guidelines (2021)
- The Sanford Guide to Antimicrobial Therapy 2024
- UpToDate: Vancomycin dosing and monitoring
- Rybak MJ et al. CID 2020, "Vancomycin therapeutic monitoring consensus guideline"
반응형
'임상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G-R15 중심으로 보는 간수술 평가, R15 수치 하나로 절제 범위가 결정된다” (0) | 2025.04.13 |
---|---|
Klebsiella pneumoniae 감염에서 전신 영상검사를 광범위하게 시행하는 이유? (0) | 2025.04.13 |
마취과에서 사용하는 One-Lung Ventilation, 간호사도 꼭 알아야 할 포인트 정리 (0) | 2025.04.13 |
페닐에프린, 마취과가 사랑하는 ‘순수 알파’의 정체 (0) | 2025.04.13 |
MRAB에 Tigecycline요? 폐렴이면 쓰지 마세요 - MRAB 감염에서 Tigecycline이 효과 없는 이유 (0) | 2025.04.12 |
MRSA 콧속에서 나왔다고요? 무피로신 바르세요 (0) | 2025.04.12 |
환자 stable할 때만 Tigecycline 쓰라고요? 이유가 있습니다 (0) | 2025.04.12 |
외상환자에게 안티트롬빈 쓴다고요?” DIC를 막기 위한 마지막 브레이크, Antithrombin III 완전 정리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