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외과전담간호사의 조용한 복습시간

임상간호

페닐에프린, 마취과가 사랑하는 ‘순수 알파’의 정체

bluefrog 2025. 4. 13. 08:15
반응형

✅ “심박수는 그대로, 혈압만 올린다” – 오직 하나뿐인 약물

스테로이드, 승압제, 심장 약물... 뭐가 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순수하게 혈압만 올리는 약물" 은 단 하나입니다.

바로 페닐에프린(Phenylephrine).

마취과에서 저혈압을 보면 제일 먼저 손이 가는 그 약물.
많은 승압제들이 β-수용체까지 건드리며 심박수를 증가시키는 반면,
페닐에프린은 알파1 수용체에만 작용하는 ‘클린’한 혈관 수축제입니다.


🧬 약리학적 특성

  • 수용체 작용: α1 선택적 작용제
  • 작용 기전: 말초 혈관 수축 → 전신혈관저항(SVR) 증가 → 혈압 상승
  • 심박수 영향: 직접 작용 없음, 오히려 반사성 서맥 가능

💉 언제 쓰는가?

상황왜 Phenylephrine이 적합한가
척추마취 후 저혈압 심박수는 높고 혈압만 낮은 경우 많음
Ephedrine 내성 환자 α1 선택 작용이 필요함
심장병 환자 β1 자극을 피해야 함
산과 마취 산모 혈압 유지 + 태아 관류에 이점

⚖️ 승압제 비교: 누가 어디에 작용하는가?

약물α1β1HR 변화주의점
Phenylephrine ✅✅✅ ↓ (서맥 가능) 순수 혈관 수축제
Ephedrine ✅✅ 태키카디아 유발 가능
Norepinephrine ✅✅ ↔ or ↑ 강력한 혈관 수축, shock에 적합
Dopamine 용량 의존 부정맥 유발 가능
Vasopressin V1 수용체 작용

📚 의학적 근거 & 참고문헌

  • Miller’s Anesthesia, 9th ed. – Vasopressors Chapter
  • Morgan & Mikhail’s Clinical Anesthesiology, 6th ed.
  • Ngan Kee WD et al. (2004).
    Phenylephrine vs Ephedrine for spinal hypotension in cesarean section. Anesthesiology.
  • Kovac AL (2003). Clinical pharmacology of phenylephrine. Drugs Today.

🧠 핵심 요약

  • 💡 Phenylephrine = 심장 건드리지 않는 순수 혈관 수축제
  • 💡 마취 중 저혈압, HR↑ 상태에서 가장 적합
  • 💡 Ephedrine과 다른 작용: 베타 영향 거의 없음
  • 💡 산과 마취에서 혈압 유지 + 태아 안전성 우수

✅ 마무리 한 줄

“심박수 올라가서 무섭다고요? 그럼 페닐에프린 쓰세요.
진짜 순수 알파, 마취과가 사랑하는 이유는 다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