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왜 nasal MRSA를 제거해야 하나요?
- 비강(nasal cavity)은 MRSA의 주요 보균 부위입니다.
- MRSA 보균자는 이후 자기 몸에서 자가 감염되거나,
다른 환자에게 전파할 위험이 높습니다.
🔬 MRSA nasal carrier 상태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
영향설명
자가 감염 위험↑ | 수술 부위 감염(SSI), 균혈증, 폐렴 등 유발 가능 |
병원 내 전파 | 의료진 접촉, 흡인, 기침 등을 통해 다른 환자에게 감염 확산 |
면역저하자에서 중증 진행 | 단순 보균에서 폐렴, 패혈증으로 악화 가능성 ↑ |
💊 그래서 무피로신(Mupirocin)을 왜 쓰나요?
▶ Mupirocin 2% 연고 (상품명 예: Bactroban)
- MRSA에 강력한 국소 항균 효과
- 비강 내에 직접 적용하여 MRSA 보균 상태 제거 가능
🧪 기전
- Mupirocin은 bacterial isoleucyl-tRNA synthetase를 억제
→ 단백질 합성 억제 → S. aureus 포함 세균 사멸
→ 특히 MRSA에 높은 감수성
✅ 사용 대상
대상사용 적응증
MRSA nasal carrier (swab에서 동정) | ✅ 사용 |
MRSA 감염력 있는 병동 입원 예정 | ✅ 사용 고려 (decolonization 목적) |
수술 전 스크리닝에서 MRSA 양성 | ✅ 사용 (특히 정형외과, 심혈관 수술 전) |
💉 사용 방법
- Mupirocin 2% 연고, 하루 2회, 양쪽 비강에 5일간 적용
- 면봉 또는 손가락으로 콧구멍 입구 anterior nares 안쪽에 소량 도포
- 손으로 가볍게 콧망울 문지르며 확산시킴
🧬 보통 함께 시행되는 decolonization regimen
부위약제
비강 | Mupirocin 연고 |
피부/두피 | Chlorhexidine 샤워제 (예: 4% CHG wash) |
구강 (선택적) | Chlorhexidine 가글 or oral care |
📚 근거 논문 및 가이드라인
- Bode LGM et al. NEJM 2010 – Nasal decolonization with mupirocin reduced surgical site infections by 60%
- IDSA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MRSA, 2011
- UpToDat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Decolonization”
❗ 주의사항
- 반복 사용 시 mupirocin resistance 발생 가능성 있음
→ 무작정 사용하는 것보단 culture 기반 타겟 사용이 원칙 - 전신 감염 시에는 사용 불가 (단순 보균제거 목적 전용)
반응형
'임상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취과에서 사용하는 One-Lung Ventilation, 간호사도 꼭 알아야 할 포인트 정리 (0) | 2025.04.13 |
---|---|
페닐에프린, 마취과가 사랑하는 ‘순수 알파’의 정체 (0) | 2025.04.13 |
이 환자에게 반코마이신을 왜 경구로 안 줬나요? C. difficile에 경구 Vancomycin 써야 하는 이유 (0) | 2025.04.12 |
MRAB에 Tigecycline요? 폐렴이면 쓰지 마세요 - MRAB 감염에서 Tigecycline이 효과 없는 이유 (0) | 2025.04.12 |
환자 stable할 때만 Tigecycline 쓰라고요? 이유가 있습니다 (0) | 2025.04.12 |
외상환자에게 안티트롬빈 쓴다고요?” DIC를 막기 위한 마지막 브레이크, Antithrombin III 완전 정리 (0) | 2025.04.12 |
수술 전 ACEI 끊었냐고요? 안 끊었으면 혈압 ‘쭉’ 떨어집니다 (0) | 2025.04.12 |
정맥이 안 찌그러진다고? 그건 DVT다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