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외과전담간호사의 조용한 복습시간

임상간호

외상환자에게 안티트롬빈 쓴다고요?” DIC를 막기 위한 마지막 브레이크, Antithrombin III 완전 정리

bluefrog 2025. 4. 12. 07:57
반응형

🔍 Antithrombin III란?

**Antithrombin III(AT III)**는 간에서 생성되는 천연 항응고 단백질로,
주요 기능은 과도한 혈액응고를 억제하는 것입니다.


🧪 작용 기전

AT-III는 다음 응고 인자들을 직접 억제합니다:

  • Thrombin (IIa)
  • Factor Xa
  • Factor IXa, XIa, XIIa 등 serine protease 계열

특히 Thrombin 억제 효과가 매우 강력하며,
Heparin의 항응고 효과도 AT-III가 있어야 발휘됩니다.


💊 Heparin과 AT-III의 관계

  • Heparin은 AT-III에 붙어 그 활성을 1000배 이상 증폭시킴
  • AT-III가 결핍되어 있으면 → Heparin을 써도 효과가 거의 없음

🩻 외상 환자에서 왜 AT-III가 중요한가?

🚨 외상 상황의 전형적 응고 흐름

  1. 조직 손상 + 염증 + 출혈 → 전신성 과응고 상태
  2. 미세혈전 형성 → 장기 허혈, MODS 가능성
  3. 항응고 인자 소모 → 특히 AT-III↓
  4. **DIC(파종성 혈관내 응고)**로 진행

💉 AT-III 투여 목적은?

목적설명
항응고 효과 회복 AT-III 결핍 시 Heparin 효과 미미
미세혈전 억제 MODS 예방 (폐, 신장, 간 보호)
DIC 억제 소모성 응고장애 진행 차단
사망률 감소 특히 중증 외상 + DIC 동반 시 생존률 향상 보고됨

📈 투여 기준 예시 (실제 임상 적용)

지표해석
AT-III activity < 70% 보충 고려 시작
< 50% 보충 적극 고려
DIC 소견 동반 시 가능한 빠른 투여
  • 투여량: 보통 30–60 IU/kg/day
  • 기간: 3일 이상 유지 또는 목표 수치 도달까지

🛑 DIC 진단, 복잡하게 볼 필요 없습니다

✅ 간단한 DIC 진단 기준 요약 (실전용)

항목의심 기준
🩸 혈소판 < 100,000/μL
⏱️ PT 연장됨 (≥ 3초 이상)
🔥 D-dimer 증가 (정상 대비 2–4배↑)
🧬 Fibrinogen < 1.0 g/L

✅ 위 4가지 중 3개 이상 이상소견이면 DIC 가능성 매우 높음


🔍 간단 외우는 공식

Plt 떨어지고, PT 길어지고, D-dimer 오르고, Fibrinogen 바닥이면 DIC다.


📚 참고 문헌

  1. Levi M et al.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trauma." Crit Care Med. 2018.
  2. Wada H et al. "Antithrombin and trauma-induced coagulopathy." J Intensive Care. 2017.
  3. Taylor FB et al. “Towards a scoring system for DIC.” Thromb Haemost. 2001.
  4. UpToDat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DIC in adults”
  5.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DIC guidelines (2022 update).

✅ 마무리 요약

  • AT-III는 우리 몸의 응고 브레이크
  • 외상 환자에서 AT-III가 떨어지면, Heparin도 소용없다
  • DIC는 간단한 수치 4개로 빠르게 판단
  • 빠른 AT-III 보충은 생명을 좌우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