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외과전담간호사의 조용한 복습시간

임상간호

간호사가 꼭 알아야 할 서혜부 탈장 병태생리 – 발생 메커니즘부터 임상적 함의까지

bluefrog 2025. 4. 14. 09:00
반응형

Hesselbach's Triangle: 서혜부 탈장의 핵심 해부학 구조

**Hesselbach 삼각형(Hesselbach’s triangle)**은 복벽 내에서 직접 서혜부 탈장이 발생하는 해부학적 약점이다. 이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수술적 접근과 탈장 유형 구분에 필수적이다.

▪️ Hesselbach 삼각형의 경계

경계해부학적 구조
내측 (medial) 복직근의 가쪽 경계 (lateral edge of rectus abdominis)
외측 (lateral) 하복벽 혈관 (inferior epigastric vessels)
하측 (inferior) 서혜인대 (inguinal ligament)
  • 이 삼각형 안쪽의 복벽은 상대적으로 약하여 **직접 서혜부 탈장(direct inguinal hernia)**이 이 부위를 통해 돌출된다.
  • 반대로, **간접 탈장(indirect hernia)**은 이 삼각형 바깥쪽, 즉 하복벽 혈관의 외측에서 시작된다.


2. 탈장의 유형

▪️ 간접 탈장 (Indirect)

  • 가장 흔함. 여성 포함 전 연령대에서 발생
  • **내서혜륜(internal ring)**을 통해 탈장
  • 하복벽 혈관 lateral
  • 종종 음낭 또는 대음순까지 진행
  • 원인: 선천적 processus vaginalis 미폐쇄

▪️ 직접 탈장 (Direct)

  • Hesselbach 삼각형 내에서 복벽 약화를 통해 돌출
  • 하복벽 혈관 medial
  • 대부분 노인, 복압 증가, 만성 기침 등과 관련

▪️ Littre's Hernia

  • 드물게 Meckel's diverticulum이 탈장낭 내 포함
  • 대부분 간접 탈장 형태로 발생

3. Hesselbach's Triangle와 탈장의 구분

구분위치혈관 기준주 연령층임상적 특징
간접 내서혜륜 → 외서혜륜 혈관의 외측 소아, 젊은층 종종 음낭까지 진행
직접 Hesselbach 삼각형 내 혈관의 내측 고령 복벽 약화와 연관

4. 수술 방법

▪️ 개복 수술 (Lichtenstein)

  • tension-free mesh 사용
  • 국소마취 가능, 비용 낮음
  • 회복 다소 느림

▪️ 복강경 수술 (TEP, TAPP)

  • 통증 적고 회복 빠름
  • 양측성이나 재발 탈장에 유리
  • 전신마취 필요

5. TEP (Totally Extraperitoneal) vs. TAPP (Transabdominal Pre-peritoneal)

두 가지 복강경 서혜부 탈장 수술 기술은 모두 인공막(tension-free mesh)을 이용하여 탈장 부위를 보강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접근 방식과 해부학적 경로가 다릅니다

.

1). TEP (Totally Extraperitoneal)

  • 접근 경로:
    복강 내에 들어가지 않고, 복막외(preperitoneal) 공간에서 수술을 진행합니다.
  • 주요 특징:
    • 복막을 열지 않으므로, 장(내장)과의 접촉이 없어 감염이나 내장 손상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 복강내로 진입하지 않기 때문에, 이로 인한 내장 수축이나 장간 유착 발생률이 낮습니다.
    • 상대적으로 한정된 공간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다소 난이도가 있습니다.
  • 병태생리적 함의:
    • 복막을 손상시키지 않아, 내강 내 염증 반응이나 감염 위험이 적습니다.
    • 환자의 회복 과정에서 내강 내의 불필요한 자극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음.

2). TAPP (Transabdominal Pre-peritoneal)

  • 접근 경로:
    복강내로 진입하여, 복막을 열고 그 안에서 preperitoneal 공간으로 접근합니다.
  • 주요 특징:
    • 복강내 접근을 통해 시야가 넓어져 탈장 부위와 주변 해부학적 구조물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복막을 열기 때문에, 내강 내에 발생할 수 있는 장 유착이나 내장 손상에 대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 복강내로 진입한 만큼, 수술 후 복막 회복 및 감염 예방에 신경 써야 합니다.
  • 병태생리적 함의:
    • 내강 접근 후 복막 봉합이 필요하므로, 이로 인한 염증 반응이나 출혈 가능성에 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 복막을 열어두는 만큼, 수술 후 복막 내 재활과 관련한 합병증 모니터링이 요구됨.

정리

  • TEP는 복막을 전혀 열지 않고, 제한된 preperitoneal 공간에서 진행되므로 내장 노출이나 복막 관련 합병증 위험이 낮으나, 수술시 기술적 난이도가 증가합니다.
  • TAPP은 복강내로 진입하여 시야 확보가 용이하지만, 복막을 열어두기 때문에 복막 봉합과 내강 내 감염 및 출혈 관리에 주의해야 합니다.

6. 수술 후 관리

  • 조기 보행 권장
  • 무거운 물건 4~6주 제한
  • 만성 통증 시 신경차단술 또는 mesh 조정 고려

결론

서혜부 탈장은 단순한 탈출이 아니라, 복벽 해부학과 내장압력 사이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그 중심에는 Hesselbach's triangle이 존재하며, 수술적 치료를 계획할 때 이 구조의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개별 환자의 나이, 탈장 유형, 직업적 요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술법을 선택해야 하며, 수술 후 장기적인 관리 또한 동일하게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