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외과전담간호사의 조용한 복습시간

보디빌딩

윈스트롤(Stanazol) 사이클 후 회복, HCG와 클로미펜만으로 충분할까?

bluefrog 2025. 4. 19. 21:49
반응형

– Arimidex는 왜 필요 없는가

운동을 오래 해온 분들, 혹은 바디라인을 정리하고 싶어 **윈스트롤(Winstrol, 성분명: Stanozolol)**을 사이클에 포함하신 분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이것입니다.

"윈스트롤 사이클 후 케어할 때 HCG는 꼭 써야 하나요?"
"Arimidex 같은 약은 필요 없을까요?"

이 글에서는 윈스트롤 단독 또는 병용 사이클 후 회복(PCT) 구성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고 HCG, Clomid, Arimidex 각각의 역할과 필요 여부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드립니다.


윈스트롤은 HPTA를 억제한다

윈스트롤은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유도체로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되지 않으며, 수분 저류나 여성형 유방(지노코마스티아) 등의 부작용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와는 별개로, 윈스트롤도 **모든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와 마찬가지로 HPTA(시상하부-뇌하수체-고환축)**를 억제합니다.

  • 복용 기간 동안 내인성 테스토스테론 분비가 억제
  • 고환 기능 저하, 성욕 저하, 정자 수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특히 장기간 고용량 복용 시 억제 강도는 더욱 커짐

PCT에서 HCG와 Clomid의 역할

Clomid (클로미펜)

  •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로 뇌하수체에 작용
  • LH, FSH 분비를 자극하여 고환 기능과 테스토스테론 생산을 회복
  • 싸이클 후 뇌하수체가 다시 명령을 내리도록 만드는 회복 핵심 약물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 LH와 유사한 작용으로 고환을 직접 자극
  • 싸이클 중 위축된 고환의 기능을 먼저 깨워주는 역할
  • Clomid보다 먼저 사용하면 회복 효과 상승

핵심: 고환이 완전히 억제된 상태에선 Clomid만으론 회복이 늦어질 수 있어,
HCG로 고환을 먼저 자극한 뒤 Clomid로 뇌하수체를 자극하는 단계적 복구가 가장 이상적입니다.


Arimidex는 왜 필요 없을까?

Arimidex(아리미덱스)는 **Aromatase Inhibitor (AI)**입니다.
즉, 테스토스테론이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차단하는 약물입니다.

하지만 윈스트롤은 아로마타이즈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애초에 없습니다:

  • 여성형 유방
  • 수분 저류
  • 고에스트로겐 상태

따라서 윈스트롤 단독 사이클이나, 아나바(옥산드롤론) 같은 비-아로마타이즈 약물과의 스택이라면 Arimidex는 전혀 필요하지 않습니다.


윈스트롤 단독 사이클 PCT 구성 예시

6주 단독 사이클 후

  • Week 1–2
    • HCG 1000 IU, 격일로 4회
  • Week 3–6
    • Clomid 50mg/day (또는 Clomid 50 + Nolvadex 20mg 병용 가능)

일반적인 단독 사이클이라면 Clomid만으로도 회복이 가능하지만,
고용량(50mg+/day) 또는 6주 이상 사용했다면 HCG 병용이 더 안전합니다.

결론

윈스트롤은 수분 저류 없이 근육 선명도와 근질 향상에 탁월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입니다.
하지만 사용 이후에는 HPTA 회복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적절한 PCT 없이는 테스토스테론 회복 지연, 성기능 저하, 무기력감 등의 부작용이 남을 수 있습니다.

  • Arimidex는 필요 없습니다.
  • Clomid는 필수이고, 고용량/장기 사용 시 HCG 병용이 회복 효율을 높입니다.

참고문헌

  1. Nieschlag, E., & Behre, H. M. (2012). Testosterone: Action, Deficiency, Substitution. Springer.
  2. Scally, M. A. (2003). HPTA suppression from AAS use and post-cycle therapy protocols. Endocrine Reviews.
  3. Hartgens, F., & Kuipers, H. (2004). Effects of androgenic-anabolic steroids in athletes. Sports Medicine, 34(8), 513–554.
  4. De Gruyter (2019). Neurotoxic Effects of Stanozolol on Male Rats' Hippocampi. https://www.degruyter.com/document/doi/10.1515/bmc-2019-0009/html
  5. PMC (2018). Stanozolol and telomerase activity.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97993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