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량 극대화, 지방 제거, 하드한 피지크 완성을 위해 일부 고급 사용자들은 **트렌볼론(Trenbolone)**을 선택한다. 하지만 Tren은 강력한 효과만큼 심각한 억제성과 부작용을 동반하며, 이를 보완하지 않으면 회복 실패와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 글에서는 Tren 사용 시 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과 HCG가 반드시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정석적인 PCT(Post Cycle Therapy) 전략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과학적으로 정리한다.
1. 트렌볼론: 강력하지만 억제성도 극단적인 스테로이드
- Trenbolone은 테스토스테론보다 약 5배 강한 아나볼릭/안드로제닉 작용
- 지방을 태우면서도 근육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는 특성으로 유명
- 하지만 동시에 **HPTA(시상하부-뇌하수체-고환축)**를 강력하게 억제함
대표적인 부작용
- 수면장애, 야간 발한, 불안, 공격성
- 성욕 저하, 발기부전
- 프로락틴 상승 → 유즙 분비 가능
- 고환 위축, 무기력
- 고혈압, 혈지질 악화
2. 왜 테스토스테론을 같이 써야 하는가?
이유 1: 내인성 테스토스테론이 거의 완전 억제됨
- Tren은 뇌하수체에서 LH, FSH 분비를 차단 → 고환이 테스토스테론 생산 정지
- Test 없이 Tren만 쓸 경우:
- 성기능 저하, 무기력, 우울, 근육 유지 불가
이유 2: 호르몬 밸런스 유지
- Tren은 아로마타이즈되지 않아 에스트로겐이 생성되지 않음
- 남성에게도 에스트로겐은 관절, 감정, 성욕에 필수
- Test는 일부가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되므로 밸런스를 유지시켜줌
이유 3: 회복(PCT)이 더 쉬워짐
- 싸이클 중 외부 Test를 공급해두면 PCT로의 전환이 매끄럽고 회복이 빠름
✅ 결론: Tren은 반드시 Test와 함께 사용해야 하며, Test 없이 Tren을 쓰는 건 회복 불능 리스크를 크게 키우는 행동이다.
3. HCG는 대체제가 아닌, 회복을 위한 ‘브릿지’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는 고환에 LH 신호를 모방하여 테스토스테론 생산과 정자 생성을 자극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것이 있다:
❌ “Test 대신 HCG만 쓰면 되지 않나요?”
➤ 틀림. HCG는 고환만 자극할 뿐, 싸이클 수준의 테스토스테론은 만들어내지 못하며, Tren으로 억제된 HPTA 전체 회복에는 부족하다.
4. PCT는 싸이클이 끝난 후에 시작된다
전통적이고 과학적으로 검증된 PCT 전략:
Week 1–2 (싸이클 종료 직후) | HCG 1000–1500 IU, EOD, 총 4~5회 | 고환에 테스토스테론 생산 신호 → 빠른 반응 유도 |
Week 3–6 | Clomid 50mg/day + Nolvadex 20mg/day | 뇌하수체 자극 → HPTA 축 회복 |
중요 원칙
- HCG와 Clomid/Nolvadex는 동시에 사용하지 않는다
➤ HCG는 에스트로겐도 자극하므로, SERM과 같이 쓰면 회복신호가 충돌할 수 있음
5. 최신 방식: 싸이클 중 소량 HCG + 종료 후 고용량
싸이클 중 (Week 2–10) | 250–500 IU, 주 2회 | 고환 위축 최소화 (on-cycle support) |
싸이클 종료 후 (Week 11–12) | 1000 IU EOD, 총 4~5회 | 고환 회복 가속화 |
Week 13–16 (PCT 본격 시작) | Clomid + Nolvadex | 상위 축 회복 유도 |
이 방식은 장기 싸이클이나 강한 억제제(Tren, Deca 등) 사용 시 널리 쓰이며, 회복률도 매우 높다.
6. 실전 예시 (Tren E + Test E 스택 후)
※ 필요시 Aromasin 12.5mg EOD 병용
7. 요약 정리
Tren | 강력한 아나볼릭. 반드시 Test와 함께 사용해야 함 |
Test | 싸이클 중 성기능/호르몬 밸런스 유지. 회복 용이하게 함 |
HCG | 고환 기능 회복 유도제. PCT에선 Clomid보다 먼저 사용 |
PCT 구조 | HCG → (3~5일 후) Clomid + Nolvadex로 전환 |
HCG + Clomid 병용? | ❌ 비추. 작용 충돌 가능성 높음 |
참고문헌
- Scally, M. A. (2003). Restoration of HPTA axis after AAS suppression. Endocrine Reviews.
- Nieschlag, E., & Behre, H. M. (2012). Testosterone: Action, Deficiency, Substitution. Springer.
- Di Luigi, L. et al. (2010). AAS use, PCT, and fertility recovery. Journal of Endocrinological Investigation.
- Layne Norton, PhD. HCG in PCT: Clarity on Timing and Role. Biolayne.com
- MorePlatesMoreDates.com (2020–2024). Tren/Test/HCG recovery protocols and user data
마무리
Tren은 매우 강력한 무기지만, 제대로 다루지 않으면 회복 불능, 성기능 저하, 정신적 부작용이 남을 수 있다.
Test와 HCG는 Tren의 보완제가 아니라 생리학적 필수 구성 요소이며,
정확한 타이밍과 용량을 이해하고 조합하는 것이 회복의 핵심이다.
이 글은 지식 공유 및 학습 목적이며, 실제 사용은 법적·의료적 책임이 따르므로 반드시 전문가의 지도하에 접근해야 한다.
'보디빌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스트롤(Stanazol) 사이클 후 회복, HCG와 클로미펜만으로 충분할까? (0) | 2025.04.19 |
---|---|
가성비 좋은 단백질 보충제 추천 TOP 5 (0) | 2025.04.19 |
근성장과 체중 증가를 위한 단백질 섭취 전략 (0) | 2025.04.19 |
시합 전 염분과 수분 조절의 과학 (0) | 2025.04.19 |
밀로사체프의 인슐린 프로토콜: 보디빌딩 혁신의 훈련 노트를 전격 분석 (0) | 2025.04.15 |
스테로이드는 효과가 있다, 문제는 그 '효과'다 (0) | 2025.04.14 |
스테로이드 사이클 분석 : 프리모볼란 + 데카 (0) | 2025.04.14 |
Adipotide(FSTTP) 펩타이드로 신장 기능 악화? 보디빌더의 실험이 남긴 교훈 (0)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