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외과전담간호사의 조용한 복습시간

임상간호

Rib Fracture 환자 간호 – Nebuliser, PCA, Incentive Spirometer의 정확한 활용법

bluefrog 2025. 4. 11. 22:55

늑골 골절(rib fracture) 은 단순 외상처럼 보일 수 있지만, 호흡기 합병증(무기폐, 폐렴) 으로 쉽게 이어질 수 있는 고위험 상태다.
이때 핵심 간호 전략은 바로 "호흡 유지 + 통증 조절", 그 중심에 있는 중재들이 바로 nebuliser, PCA, incentive spirometer 다.


1. Nebuliser(네뷸라이저) – 기도 분비물 제거와 통기성 유지

사용 목적

  • 진해거담제(예: acetylcysteine), 기관지 확장제(예: salbutamol) 투여
  • 분비물 배출 촉진 → 무기폐 예방
  • 기도 개방 유도 → 숨쉬기 편하게

간호 포인트

  • 시행 전 기도 음 확인: gurgling, wheezing 있는지
  • 치료 전후 SpO₂ 비교
  • 흡입 후 구강 세척 안내 (스테로이드 포함 시 반드시)
  • 기침 유도 후 suction 필요성 판단

2. PCA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 자가 통증 조절로 호흡보조 가능

사용 목적

  • 늑골 골절로 인한 통증 억제깊은 숨 쉬기 가능하게
  • 기침 억제가 없어야 분비물 제거 가능

간호 포인트

  • 진통제 종류, 용량, 락아웃 시간 정확히 파악
  • PCA 작동 여부 확인 (배터리, 줄 막힘 등)
  • 호흡수 RR < 10/min 또는 의식 저하 시 즉시 알림
  • PCA로 통증 조절 불충분 시 추가 PRN 계획 확인

핵심 질문: “깊게 숨 쉴 수 있으세요?”, “기침할 때 너무 아프신가요?”


3. Incentive Spirometer(인센티브 스파이로미터) – 무기폐 예방의 핵심 도구

사용 목적

  • 폐포 확장 유도 → 무기폐 및 폐렴 예방
  • 심호흡 훈련 → 산소포화도 개선

간호 포인트

  • 사용 교육: 입으로 깊게 흡기, 가능한 한 오래 유지
  • 일반적 목표: 하루 10회 이상, 1–2시간 간격으로 반복
  • 통증으로 인해 시행 못 할 경우 PCA 조절 후 재시도
  • 사용 중 어지러움, 저산소증 유발될 수 있음 → 중단 후 관찰

4. 기타 실무에서 체크할 항목

체크 항목간호 포인트
체위 Semi-Fowler or upright → 흉곽 팽창 도움
기침 유도 진통 후 시행 권장. 필요 시 splinting 교육
호흡수, SpO₂ 기본 활력 외 RR 관찰은 무조건 포함
chest X-ray 상태 변화 시 확인: 무기폐, 폐렴 발생 여부
심호흡/기침 교육 “깊게 숨 들이마시고, 기침할 땐 배에 베개 대고”

마무리 정리

rib fracture 환자 간호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는 “호흡 유지”와 “통증 조절”이다.
PCA와 nebuliser, incentive spirometer는 각각 다른 목적을 갖고 있지만, 결국은 산소포화도 유지, 분비물 배출, 폐렴 예방이라는 동일한 목적을 향한다.
간호사는 환자가 이 세 가지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는지, 호흡이 개선되고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조율하는 호흡관리의 조타수가 되어야 한다.